스마트게임 시대의 상호작용성
▶ 스마트 시대의 소셜 게임
소셜게임은 일반적으로 SNS를 이용한 SNS 이용자가 게임에 참여하고 브라우저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온라인 게임으로 인식된다. 물론 장르 구분이 막연하지만, 다양한 가능성을 품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소셜 게임은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 같은 SNS가 개방되며 등장했다.
초창기에는 아바타 채팅, 버추얼 월드의 베리에이션 등 유명한 아날로그 게임이나 디지털 캐주얼 게임을 단순히 옮겨 놓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눈에 띌 새로운 요소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 수십 수백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하여, 소셜 게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소셜 게임은 커뮤니티, 브라우저 기반이 기본으로 전제되어 있다. 또한 입력과 결과 출력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게임 구조가 단순해야 한다. 협력형/자원 구축형이 주류로 공격하거나 파괴하는 요소보다는 소매점 경영, 농장 시뮬레이션으로 게임이 제작된다. 또한 플레이 시간은 짧은 편이며 플레이어 간의 교류가 필수적인 멀티게임은 아니다. MMORPG나 MMO와 비교했을 때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소셜 게임은 비동기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소셜 게임에서 "다른 플레이어와 같이 게임을 즐기며 논다."라는 것은 "같은 시간을 공유한다."라는 것과 다른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은 플레이어에게 '협력한다'라는 느낌을 부여해 주면서도 플레이어의 시간을 구속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부담이 적다. SNS에 기반한 서비스 게임이라는 점에 주목하면 향후 전망을 예측하기 쉽지는 않지만, 현재진행형으로 움직이는 현상인 만큼, 당분간 무수히 많은 도전과 모방이 반복될 것이다.
▶ 스마트폰 게임
스마트폰은 고성능, 고부가가치를 지는 휴대폰을 말한다. 최근 스마트폰은 선명하고 큰 액정 화면과 고성능 CPU를 탑재하여 복잡한 애플리케이션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게임을 재미있게 디자인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하드웨어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의 특성을 잘 파악해서 활용하는 것이다.
터치 패널이나 가속도 센서 등 예전의 게임기, 휴대폰에 없었던 기능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터치 패널 조작은 버튼 조작보다 감각적인 반면, 입력의 정확도가 낮은 경향이 있어 감각적인 조작을 통해 얼마나 플레이어에게 즐거움을 주느냐가 포인트가 된다.
[플레이스테이션 무브]나 [엑스박스 키넥트] 등 완전히 새로운 인터페이스 기기가 세계적인 규모로 급속히 보급되고 게임 콘텐츠의 격렬한 생존 경쟁이 진행된 결과,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매우 싼 가격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용 게임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진화는 아케이드 게임이나 가정용 컴퓨터 초기의 급팽창기 시절과 유사한 양상이다.
스마트폰은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 등 현재 급성장하는 소셜 게임과도 궁합이 잘 맞아 게임 사용자의 저변을 넓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아직 초기 시장이라서 향후 다양하고 깊은 변화가 예측된다. 사용자나 크리에이터도 이 변화를 긍정적으로 즐기며 적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스마트게임과 상호작용성
전자게임이 영화, 애니메이션, 소설 등의 기존 서사와 구별되는 차이점은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이다. 게임에서는 기존의 서사성과 상호작용성이 동시에 나타나지만, 스토리 층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기반적 스토리 층위에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처럼 서사성만 나타나고, 이상적 스토리에서는 서사성과 상호작용성이 비슷한 비율로 함께 나타나며, 우발적 스토리에서는 서사성보다 상호작용성이 훨씬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마트게임 시대에서 플레이어의 상호작용성은 훨씬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상호작용성은 게임 내 플레이어의 위치에 따라 '내적 상호작용성(internal interactivity)'과 '외적 상호작용성(external interactivity)'으로 구분되고, 플레이어와 스토리의 영향 관계에 따라서 해석적 상호작용성(interpretive interactivity)'과 '창조적 상호작용성(creative interactivity)'으로 구분한다.
스마트 시대의 게임 상호작용성은 이상과 같은 네 가지 상호작용성 분류만으로 설명이 가능하지 않은 유형이 있을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체감형 게임기기들이나 예술적 게임 콘텐츠들은 기존의 상호작용성 연구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데, 스마트 시대에 걸맞은 상호작용성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
'게임의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것을 바꾼 해: 2009년도 게임이 현대 게임 문화에 미친 영향 (0) | 2023.05.03 |
---|---|
2008년이 게임의 황금기였던 이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회고록 (0) | 2023.05.01 |
Grand Theft Auto IV 출시가 게임 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3.04.29 |
비디오 게임 진화의 새롭게 제시된 이정표 (0) | 2023.04.28 |
게임 혁명: 게임의 진화 탐구 (0) | 2023.04.27 |
댓글